• 사업목표
  • 사업개요
  • 연구내용
  • 센터총괄
  • 제1총괄 과제
  • 제2총괄 과제
  • 제3총괄 과제
  • 기대효과
제3총괄 과제

제3총괄 연구 내용

Ubiquitous Self : Life Logs and Distributed Collaborations

Distributed Self 김진형, 최호진, 이관수 (카이스트) 모바일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화된 상황인지형 헬스케어 서비스 에이전트 Customized and Context-aware Healthcare Service Agents in Mobile Smart Phone Environment
Connected Self 한동원, 배창석 (한국전자통신연구원, ETRI) 라이프로그 정보와 스트림형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건강 모니터링 Life Logs and Stream-type Data Mining for Health Protection (Digital Angel)

연구내용 제3-1 세부내용(1/3)

Distributed Self 김진형, 최호진, 이관수 (카이스트) 모바일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화된 상황인지형 헬스케어 서비스 에이전트 Customized and Context-aware Healthcare Service Agents in Mobile Smart Phone Environment
Distributed Self 개발의 목표
  • 컨 텐 츠 : 사회 간접자본과 신 산업으로서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는 의료 및 건강 서비스
  • 정보환경 : 지능형 모바일 환경과 고도로 분산되어 있는 건강 정보 자원 환경
  • 서 비 스 : 분산자원의 활용성을 극대화한 건강 서비스 제공 모델 및 기반 기술 개발
  • 전 세계적으로 병원 내의 제반 의료서비스뿐 아니라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및 대중을 위한 개별 건강정보 서비스가 모바일 환경에서 지원되는 미래의 웹서비스 컨텐츠로 대두되고 있음.
  • 개인별 특성, 병력, 생활습관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이 처한 환경과 특수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모바일 스마트폰을 통해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와 모바일 인터넷 환경 개발
  • 기술개발 : 상황인지형 서비스를 위한 바이오정보의학, 인공지능학 및 소프트웨어공학 기술 개발
  • 헬스케어 서비스에 요구되는 지식기반 모델링을 통해 바이오-정보-의학 및 예비진단 서비스 컨텐츠를 구축과, 상황과 개인별 맞춤형 정보서비스의 모바일 스마트폰을 통한 제공 기반 기술 개발
그림, 모바일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화된 상황 인지형 헬스케어 서비스 에이전트
모바일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정보서비스 개인화 및 상황인지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연구
  •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적 특질과 상황을 고려한 의료 및 헬스케어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함.
  • 자가진단 헬스케어를 위한 서비스 개인화 프로파일링 및 예측 모델 연구
  • 공간위치, 작업의도, 상황인지를 위한 사이버-현실세계 간 교감 모델 연구
  • 스마트폰을 통한 상황인지형 예방의학 및 헬스케어 플래닝 코치 연구
  • 상황 및 개인 특성을 고려한 의료정보 테일러링 자동화 기술 연구
헬스케어 및 임상지원 시스템 자동화를 위한 지식공학 및 소프트웨어공학 기술 연구
  • 본 연구에서는 의료 및 헬스케어 온톨로지 구축 과정을 지원하는 지식공학 기술 및 임상진단지원시스템 (CDSS: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) 컴포넌트 소프트웨어공학 기술을 연구함.
  • 위키피디아 등 범용 집단지성을 활용한 헬스케어 온톨로지 구축 자동화 기술 연구
  • 임상 및 헬스케어 가이드 자동화를 위한 지식기반 시스템 아키텍처 연구
  • CDSS 컴포넌트 재사용을 위한 소프트웨어공학 기술 연구
  • 모바일 스마트폰 환경에서 서비스 안정성을 위한 오토노믹 컴퓨팅 연구
모바일 스마트폰 환경 내 바이오-의료정보 및 예비진단 서비스 컨텐츠 구축 연구
  • 본 연구에서는 질환진단을 위한 임상 검사 정보와 유전체기반 개별 건강정보를 종합할 수 있는 CDSS 컨텐츠를 개발하고, 가상자아 지원을 위한 온톨로지 및 특정도메인 CDSS를 개발함.
  • 바이오 및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정보 분류
  • 임상의료 및 라이프로그 추출 정보 활용방안 연구
  • 데이터 기반 예비진단 규칙 정보 구축
  • 바이오-정보-의학 기반 예비진단 서비스 컨텐츠 고안

연구내용 제3-2 세부내용(1/3)

Connected Self 한동원, 배창석 (한국전자통신연구원, ETRI) 라이프로그 정보와 스트림형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건강 모니터링 Life Logs and Stream-type Data Mining for Health Protection (Digital Angel)
최종 목표
  •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라이프로그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개발 헬스 모니터를 위한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실험용 라이프로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보급 라이프로그 기반 특징 생성/선택/최적화 등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
헬스 모니터를 위한 사용자 라이프로그의 수집 및 저장 기술
  • 수집 대상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선정 행동정보 : 위치 (방문 장소 및 시간 등), 활동량 등 생체정보 : 맥박, 피부 전도도, 피부 온도 등
  •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 장치 행동정보 수집장치 :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움직임 센서를 가진 스마트폰 기반 응용프로그램 생체정보 수집장치 : 하드웨어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 구매하여 활용하고 필요한 응용프로그램
  • 라이프로그 데이터 저장 기술 멀티 모달리티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모델링 이벤트 기반 멀티 모달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자동 분류 저장 기술 헬스 모니터를 위한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의 실험 및 검증용 라이프로그 디비 구축/보급
그림, 라이프로그 데이터 마이닝 기반 헬스 모니터 (디지털 엔젤) 개념도
헬스 모니터를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술
  • 헬스 모니터를 위한 건강 상태 모델링 대상이 되는 건강 상태에 대한 분류 및 모델링 건강 상태 분류를 위한 각 상태별 기준에 대한 모델링
  • 멀티 모달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특징 선택 (feature selection) 기술 멀티 모달 라이프로그에 대한 특징 벡터 모델링 및 생성 기술 특징 벡터 선택 알고리즘 개발: Rough Set Theory, PSO (Particle Swarm Optimization)
  • 라이프로그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제안, 설계 및 개발 Swarm Intelligence에 기반한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제안, 설계 및 개발 제안한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의 적용 및 성능 비교 검토
  • 라이프로그 데이터 마이닝 기반 헬스 모니터 시스템 설계 및 개발
  • 연구논문 바로가기
  • 센터행사일정
  • 학습자료실